본문 바로가기

바로 후기작성급 실업급여 신청방법

 

실직으로 곤란을 겪고 있을 때

직장을 잃은 후 다시 직장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생계비를 지원합니다.

 

 

 

실업급여

 

1. 대상

회사를 그만두기 이전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임금을 지급받고, 본인이 원하지 않았음에도 퇴사한 후 재취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사람

· 회사 사정으로 인한 권고사직, 계약기간 만료, 사업장 휴·폐업 등 정당한 이직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지원 가능

 

 

2. 내용

이직 당시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120~270일 간 이직 전 평균임금 60%의 구직급여 지급

, 1일 상한액 66,000, 하한액 6120(소정근로시간 8시간 기준)

 

3. 방법

· 퇴직 후 신분증을 지참하여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신청

· 실업신고 및 수급자격 인정 신청(이직자) 수급자격 처리 및 실업인정일 지정(고용센터) 재취업활동(수급자) 실업인정 및 구직급여 지급(고용센터)

 

 

4. 문의

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(1350)

 

 

알려드립니다

실업급여는 언제까지 신청해야 하나요?

- 실업급여는 이직 후 12개월 이내에 본인의 소정급여일수를 한도로 지급하기 때문에 퇴직 후 지체 없이 실업신고(실업급여수급자격 신청)를 해야 합니다.

부정한 실업급여 수급은 반드시 신고해주세요.

- 허위신고, 취업사실 미신고 등 거짓 또는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실업급여를 받았거나 받으려고 하는 것은 부정수급으로 형사 처벌을 받는 범죄행위입니다. 부정행위로 지급받은 실업급여 전액을 환수하고 추가징수 조치도 합니다. 이를 신고하면 최고 500만 원 (부정수급액의 20%)의 포상금이 주어지고, 피보험자와 사업주가 공모한 경우에는 포상금이 3,000만 원으로 상항됩니다. 제보자의 신분은 철저히 비밀을 보장합니다.